본문 바로가기

정근수당 지급 월 금액, 기준, 다른 수당까지 총정리

7분 2025. 7. 12.

 

공무원 정근수당

정근수당이란?

정근수당은 공무원이 일정 기간 성실히 재직했을 경우, 6개월 단위로 근속 보상의 개념으로 지급되는 수당입니다.
「공무원보수규정」 제20조에 근거하며, 근무기간 중 무사고·무징계·성실근무를 유지한 자에게만 지급됩니다.

 

정근수당 지급 요건

  • 지급 기준일: 매년 1월 1일 / 7월 1일
  • 근속 요건: 기준일 전 6개월 이상 계속 재직
  • 지급 시기: 1월, 7월 급여와 함께 지급

정근수당 금액 (2025년 기준)

직급 지급률 예시 월봉급 지급액
6급 이하 월봉급의 50% 2,500,000원 1,250,000원
5급 이상 월봉급의 100% 3,000,000원 3,000,000원

💡 성과연봉제 적용자는 기본연봉의 50%만 정근수당으로 지급받고, 나머지는 성과상여금으로 전환됩니다.


정근수당과 성과상여금 차이점

항목 정근수당 성과상여금
기준 근속기간 업무성과
지급횟수 연 2회 연 1회 (3~5월)
지급방식 정액·정률 차등 등급(S/A/B)
대상 전체 공무원 평가대상자

유의할 점

1. 휴직 또는 복직한 경우

  • 복직 후 기준일 이전까지 6개월 이상 계속 근무해야 지급 대상.
  • 예시: 2025년 7월 1일 기준 → 2025년 1월 2일 이전 복직해야 수령 가능

2. 인사이동 시

  • 기관 전보·승진 여부와 관계없이 기준일 당시 소속 기관에서 일괄 지급

3. 징계처분자

징계 정근수당 감액 비율
견책 50% 감액
감봉 이상 전액 미지급

 

공무원 수당 종류

수당명 설명 자세히보기
정근수당 6개월 이상 근속 시 연 2회 지급 정근수당 보기
성과상여금 연 1회, 근무 성과에 따라 차등 지급 성과상여금 안내
명절휴가비 설·추석 명절 전후 정액 지급 휴가비 기준
연가보상비 미사용 연가 일수에 대한 금전 보상 연가보상 기준
가족수당 배우자·자녀 등 부양가족 수당 가족수당 보기
육아휴직수당 육아휴직 중 일정 비율로 지급 육아휴직 기준
초과근무수당 시간외 근무 시 지급 (월 한도 있음) 초과근무 기준
야간/휴일수당 야간 및 공휴일 근무 시 가산 수당 휴일수당 보기

 


요약

  • 정근수당은 근속 6개월 이상 시 연 2회 지급
  • 직급에 따라 50%~100% 지급
  • 징계, 휴직, 복직 시기 등에 따라 감액 또는 제외 가능
  • 정확한 기준일 확인은 필수!


공무원 수당, 정확히 알고 제대로 받는 것이 똑똑한 공직 생활의 시작입니다.

반응형

댓글